샐러드볼/리코타

디즈니 영화 <코코> 속 음악의 역할 : 이데올로기 표현과 갈등 해결 수단으로서의 음악

2021. 3. 19.

 락이나 힙합으로 대표되는 하위문화의 음악은 가사를 통해 직접적으로 이데올로기에 저항하기도 한다. 넥스트의 <우리가 만든 세상을 보라>와 서태지의 <교실 이데아>와 같은 음악은 문화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반면 군가와 같은 음악은 애국심 고취를 목적으로 작곡된 것이며, 군인들은 무의식적으로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에 편입되어 이를 제창한다. 사회적 시각에서 음악이라는 도구는 그 자체로 특정한 사상을 가질 수 없다. 오히려 생산자의 의도에 따라 음악의 의미와 방향성이 결정되는 것이다.

 픽사 제작; 디즈니 배급 영화 <코코> 속 음악은 멕시코의 음악 문화와 민족성을 함양하고 있으나, 동시에 음악을 가족사회에 대한 저항 혹은 합일적 도구로써 이용한다. 음악이라면 치를 떠는 대가족에서 태어난 주인공 미겔은 가족이 찾을 수 없는 공간에서 남몰래 음악에 대한 꿈을 키워간다. 자신을 억압하는 가족에 대한 반감을 품은 미겔에게 있어, 음악은 최종적인 자아실현뿐 아니라 저항적 수단으로도 작용한다.


 반면 가족의 생각은 다르다. 멕시코 사회에서 가족은 신성한 것이며 최우선으로 지켜야 할 의무다. 스페인의 지배하에 가톨릭 신앙을 받아들인 멕시코인들은 보수적 가치관을 반영해 가족사회를 공고히 지키려고 한다. 이미 가장이 자신의 의무를 저버리고 음악을 통해 도피한 미겔의 가정에서(비록 추후 이것이 오해였음이 밝혀지지만) 음악 행위는 신성한 가족 이데올로기와 구성원의 의무를 저버리는 행위로 받아들여진다. <코코>의 전개 속 음악은 미겔과 그의 가족이 각자의 이념을 투영하는 각축의 장인 셈이다.

 

자녀를 책임져야 할 의무를 버리고 집을 떠나버린 가장에 대한 배신감이 그 근원적 요인(각주:가족 단위로 음악을 반대하는 이유)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그렇게 떠나버린 가장이 택한 길이 음악이라는 점에서 그의 아내 이멜다로 하여금 음악 자체가 가족 구성원의 공동체적 의식을 해체시킨다고 생각하게 만든다.
유슬기. "문화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음악의 특징 및 기능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서울


 그러나 작중 헥터가 사실은 ‘가족을 위해’ 끝까지 음악을 고수했음이 밝혀지며 <코코> 속 음악은 가족 이데올로기의 안정과 행복을 지키기 위한 도구로서의 의미를 확립한다. 음악 행위자(미겔의 가족)가 부여한 가족적인 의미에 따라 영화의 갈등과 의문이 해결되고, 음악은 가정의 행복을 유지하는 도구로써 결말에 함께하게 된다.

 음악이 순수하게 즐기기 위한 예술로 존재할 때 그것은 음악 내적인 요소와 미학적 관점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그러나 음악이 영화 혹은 드라마와 같은 타 매체에서 부차적 요소로써 등장할 때, 청취자는 음악 판단에 있어 그것의 도구적 역할을 간과할 수 없다. <코코> 속 음악이 부여받은 역할은 가족의 안정과 반대되는 불안정이자 갈등 해결의 궁극적 수단이다. 음악은 멕시코인의 민족성이 추구하는 대로, 가족을 수호하며 운명에 순응하고 행복에 기여한다.


 문화 속 음악은 언제나 특정한 이념을 무의식적으로 수용 및 생산한다. <코코>는 가족의 정과 힘, 그리고 보답과 성취를 보여주는 따뜻한 음악영화다. 반면 음악을 이용하는 방식 아래에는 작품의 갈등 해결을 위한 극적 요소와 더불어 멕시코의 전통적인 가족주의적 가치관이 함양되었음을 인지하고자 하였다.

 

 

 

참고: 최진옥. "한국과 멕시코의 가족문화 비교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0. 서울